BASIC GRAMMAR

명사의 복수형 만드는 규칙

welcome320 2023. 5. 7. 14:20
반응형

 

 

 

 

안녕하세요!

오늘은 셀 수 있는 명사의 복수형 만드는 규칙에 대해 정리해 볼게요.

 

 

 

① 대부분의 명사는 명사 뒤에 -s를 붙여 복수형을 만듭니다.

 

형태) 명사 + s

예) girls, boys, pencils, houses, oranges

 

 

 

② [s, x, ch, sh]로 끝나는 명사는 명사 뒤에 -es를 붙입니다.

 

형태)  [s, xch, sh] + es

예) buses, boxes, watches, dishes

 

 

 

③ [자음+o]로 끝나는 명사는 명사 뒤에 -es를 붙이고, [모음+o]로 끝나는 명사는 명사 뒤에 -s를 붙입니다.

 

형태) [자음+o] + es 

예) potatoes, tomatoes, heroes 

 

형태) [모음+o] + s 

예) radios, videos, studios 

 

예외) pianos, photos, memos

 

 

 

④  [자음+y]로 끝나는 명사는 y를 i로 바꾸고 -es를 붙이고, [모음+y]로 끝나는 명사는 명사 뒤에 -s를 붙입니다.

 

형태) [자음+y] = 자음+ies 

예) candy/candies, city/cities, lady/ladies 등 

 

형태) [모음+y] + s

예) toys, boys, days 등

 

 

 

⑤ [f, fe]로 끝나는 명사는 f/fe를 v 바꾸고 -es를 붙입니다.

     예외적으로 명사 뒤에 바로 's'를 붙이는 경우도 있습니다.

 

형태) [f/fe -> v] + es

예) knife/knives, leaf/leaves, life/lives, wife/wives

 

예외) belief/beliefs, proof/proofs, roof/roofs

 

 

 

  

 

 

 

반응형